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다반사38

최근 문호를 개방했지만 북한이 외부에 보여주고 싶지 않은 사진들과 현실 최근 문호를 개방했지만 북한이 외부에 보여주고 싶지 않은 사진들과 현실최근 북한이 외국인들의 관광을 많이 허가해 주고 있습니다. 물론 관광을 통한 외화벌이를 위해서 입니다. 본 내용과 사진은  Kueez의 기사를 참고로 발췌했습니다.다수의 사람들은 북한 이야기를 들으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나요? 대표적으로 김정은이 제일 먼저 떠오를 것입니다. 하지만 글쎄요, 북한은 사생활 보호에 있어서 정말 엄격하고 많은 금지와 제한이 있기 때문에 많은 북한 사람들은 외부 세상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거나 전혀 모르고 외부인 또한 북한에 출입이 엄격해 잘 알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북한 지도자의  독재 하에서 관광객이나 서방 사진가들이 빈곤에 허덕이거나 현실성 있는 북한의 모습을 사진에 담는 것은 어렵고 위험해졌습니다... 2024. 5. 11.
유한양행 유일한 박사의 에피소드 "위기를 기회로" 무모하지만 새로운 도전 낯선 미국에서 1920년대에 대학을 졸업한 한국 청년이 있었습니다. 미시건 대학교를 졸업하고 청년은 어떻게 돈을 벌까 하다가 사업을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무엇을 팔아야 돈을 벌까? 그러던 어느 날 마트에서 숙주를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 저거다! 청년은 숙주를 팔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미국에서 왠 뜬금 없이 숙주나물? 하지만 당시 중국계 미국인들은 숙주를 이용한 요리를 즐겨 먹곤했습니다.  독특한 도전의 기회 때마침 미국에서는 중국계 미국인을 포함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만두를 좋아하기 시작했고 아시아계 뿐만 아니라 미국인들도 만두 맛을 알아 조금씩 유명해지기 시작했습니다.그래! 숙주를 한번 팔아보자! 그럼 나는 독특하게 유리병에 넣어 팔아야지 당시 숙주는 쉽게 상하는 식재료로 그 특.. 2024. 4. 30.
튀르키예-옛 터키의 음식 카이막 하늘이 내려준 음식 카이막 튀르키예에서 전통적인 아침 식사에 같이 즐겨먹는 음식인 ‘카이막(Kaymak)’은 우유의 지방을 모아 굳혀 크림처럼 만든 유제품이다. ‘카이막(Kaymak)’의 역사는 생각보다 더 길다. 농경 위주의 정착 생활이 아닌 유목 위주의 떠돌이 생활을 주로 했던 돌궐 민족(터키는 돌궐 민족의 후예)은 소의 젖을 짠 우유를 그대로 두면 금방 상해 못 먹게 된다는 것을 깨닫고, 조금이라도 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 그러다 우유로 요거트, 버터, 치즈 등을 만들어 보관하기 시작했고, 그렇게 ‘카이막(Kaymak)’도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튀르키예 지역의 특성에 따라 소나 물소, 양, 염소의 젖을 활용하여 만들어지는데, 그 중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물소 젖으로 만든 ‘.. 2024. 3. 22.
생맥주의 진실 생맥주의 진실은? 사실 우리가 호프집에서 마시는 생맥주는 일반 병맥 주나 캔맥주와 똑같은 제품이에요. 같은 공장에서 같 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맥주죠. 그런데 왜 우리는 생맥주를 일반 맥주보다 더 시원하 고 맛있다고 느끼는 걸까요? 먼저 전용 보관 용기인 케그가 캔이나 병에 비해 맥주 를 더 잘 보호해 주기 때문이에요. 스테인리스나 철재 로 만들어져 온도 관리를 쉽게 하고 효모 활동을 억제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생맥주는 잔에 따를 때 생맥주 기계를 이용해 빠르게 냉각하고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탄산과 거품 을 더하기 때문에 더 차갑고 부드러운 맥주를 마실 수 있죠. 결국 생맥주는 어떻게 보관하고 따르는지만 다를뿐, 병맥주나 캔맥주와 같은 맥주예요. 그럼 진짜 생맥주는 뭘 말하는 건가요? 그럼 진짜 생맥주라.. 2024.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