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인, 조선의 실학자 혈통을 이어받다: 다산 정약용의 후손으로 살아간다는 것
"촬영장에서 대본을 읽을 때마다 문득 떠오릅니다. '내 조상님이라면 이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셨을까?'"
배우 정해인(35)의 눈빛이 깊어졌다. 최근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한 그는 자신이 조선 후기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직계 후손이라는 사실을 공개해 시청자들을 놀라게 했다.
"어릴 때부터 알고 있었어요"
유재석의 질문에 정해인은 담담하게 대답했다. "할아버지로부터 듣던 이야기였어요. 정약용 선생의 둘째 아들 정학유의 후손이라고요."
하지만 그의 태도에서 결코 가볍지 않은 무게가 느껴졌다. 그는 이어 "조상님의 업적과 사상을 알게 될수록 막중한 책임감을 느낍니다"라고 말했다.
배우로서 쌓아온 자신만의 커리어와 별개로, 정해인에게는 늘 등 뒤에서 자신을 지켜보는 역사적 거인의 시선이 있었던 셈이다.
'연기하는 다산의 후손'이 아닌 '다산의 후손인 연기자'
정해인이 자신의 가문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하지만 그는 이를 자신의 연예활동에 활용하거나 마케팅 포인트로 삼지 않았다. "조상님의 명성에 누가 될까봐 더 조심스러웠다"는 그의 말에서 진정성이 느껴진다.
"실학자의 후손이라는 사실이 제 연기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모르겠어요. 하지만 제가 작품을 선택하고 캐릭터를 해석하는 방식에는 분명히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실질적이고 진실된 모습을 추구하게 되니까요."
다산 정약용, 그 이름의 무게
정약용(1762~1836)은 조선 후기 실학의 대가로, 추사 김정희, 초정 박제가와 함께 '북학파 3대가'로 불린다. 그는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 권에 달하는 저술을 남긴 학자이자, 수원 화성을 설계한 과학자이기도 했다.
정조의 총애를 받던 그는 정조 사후 신유박해로 18년간 강진에 유배됐지만, 그곳에서도 학문을 멈추지 않았다. 오히려 유배 생활이 그의 사상을 더욱 성숙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해인, 역경을 견뎌낸 조상의 DNA를 이어받다
정해인의 연기 인생도 순탄치만은 않았다. 무명 시절 10년, 그리고 '밀회'와 '슬기로운 감빵생활'로 주목받기까지의 과정은 힘들었다. 하지만 그는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왔다.
"조상님이 18년간 유배 생활을 하면서도 학문을 포기하지 않으셨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저도 포기하면 안 되겠다고 다짐했어요. 연기자로서 침체기가 있을 때마다 큰 힘이 됐습니다."
실학자의 DNA, 배우의 선택으로 이어지다
흥미로운 것은 정해인이 선택한 작품들의 성격이다. '밀회'의 학생과 교수 사이의 금기된 사랑, '슬기로운 감빵생활'의 사회 비판, '연애말고 결혼'의 현실적 관계 묘사 등... 그의 필모그래피는 표면적 화려함보다 사회와 인간관계의 실상을 파고드는 작품들이 많다.
"단순히 인기를 얻기 위한 작품보다는 무언가 메시지가 있는 작품을 하고 싶어요. 조상님이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해 고민하셨듯이, 저도 현시대의 고민을 담은 연기를 하고 싶습니다."
정해인이 꿈꾸는 미래
정해인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다산 정약용 선생의 삶을 다룬 작품에 언젠가 참여하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다. 직접 조상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은 부담스럽지만, 그 시대를 다룬 작품에서 다른 인물로 참여하고 싶다는 것이다.
"조상님의 사상과 업적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연기자로서의 제 역할이 그런 역사적 다리가 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 같아요."
평소 낮은 목소리로 차분하게 말하는 정해인. 그의 말투와 태도에서 조선 시대 선비의 기품이 느껴지는 건 기자의 상상만은 아닐 것이다. 배우 정해인, 그는 오늘도 다산의 후손으로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고 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에 사용하면 좋지 않은 불용한자(不用漢字) (0) | 2025.04.22 |
---|---|
갤럭시S25 울트라 소개 및 특징 분석 (0) | 2025.02.26 |
트랜드 분석-밀레니얼 세대의 삶과 가치관: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 (10) | 2024.09.04 |
검은보석 커피콩의 반짝이는 기름의 두얼굴 (0) | 2024.05.29 |
전기요금 걱정없는 누구나 아는 에어컨 사용 10계명 (0) | 202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