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의보감》과 전통 한의학에서 **기혈허(氣血虛)**와 **간화상염(肝火上炎)**은 혈압 조절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문제를 설명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입니다.
🔶 기혈허(氣血虛)
📌 개념 설명
- 기(氣): 몸을 움직이고 유지하는 에너지. 기가 허하면 기운이 없고, 쉽게 지치며, 소화기능이 떨어집니다.
- 혈(血): 영양과 생명력을 공급하는 물질. 혈이 허하면 얼굴이 창백해지고 어지럽고, 손발이 차며 불면증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 기혈허는 이 두 가지가 모두 부족한 상태로, 피곤함, 어지럼증, 면역력 저하, 저혈압, 무기력, 불면 등이 동반됩니다.
🌿 대표 증상
- 기운 없음, 쉽게 피로함
- 식욕 저하
- 창백한 얼굴
- 어지럼증, 두근거림
- 수면의 질 저하
- 저혈압 또는 혈압이 안정되지 않음
🍵 도움되는 한방 재료
- 인삼, 황기: 기를 보함
- 당귀, 작약, 백하수오: 혈을 보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
- 대추, 감초: 보조적으로 기혈을 조화롭게 함
🔷 간화상염(肝火上炎)
📌 개념 설명
- **간(肝)**은 한의학에서 '소통'과 '감정 조절', '혈 저장'을 담당합니다.
- 간의 기운이 울체되면 열(肝火)이 발생해 위로 치솟는 것을 간화상염이라 합니다.
- 스트레스, 분노, 과로, 음주 등이 원인이 되며, 고혈압, 두통, 불면, 이명, 안면홍조, 눈의 피로, 가슴 두근거림 등이 주 증상입니다.
🌿 대표 증상
- 머리가 띵하거나 무거움, 어지러움
- 얼굴과 눈이 붉고, 눈의 피로
- 쉽게 화를 냄, 성질이 급함
- 가슴이 두근거림
- 혈압이 높아짐
- 불면, 꿈이 많음
🍵 도움되는 한방 재료
- 결명자, 국화, 상엽: 간열을 끄고 눈을 밝힘
- 치자, 연꽃잎(하엽): 심화와 간화를 내려줌
- 산조인, 백자인: 간과 심을 안정시켜 신경성 고혈압 완화
- 오미자: 심신 안정
🌿 차로 활용하기 좋은 조합 예시
▪️ 기혈허용 보차
황기 6g + 당귀 6g + 백하수오 4g + 대추 2개
→ 물 1L에 넣고 30분간 달여 하루 2~3회 복용
▪️ 간화상염용 청열차
결명자 6g + 국화 4g + 상엽 4g + 연꽃잎 2g
→ 물 1L에 넣고 20~30분 약한 불에서 끓여 마심
💡 한의학적 조언
- 기혈허는 "보(補)"가 중요하니 따뜻한 성질의 음식과 약재가 좋습니다.
- 간화상염은 "사(瀉)"가 중요하니 열을 내리고 진정시키는 성질의 약재를 사용합니다.
- 같은 혈압 문제라도 원인이 다르면 처방은 정반대가 됩니다. 예를 들어, 기혈허로 인한 저혈압은 보해야 하고, 간화상염으로 인한 고혈압은 사해야 하죠.
반응형